히든 피겨스의 줄거리
영화 "히든 피겨스"(Hidden Figures)는 1960년대 초 미국의 우주 공간 경쟁 시대 배경에서 세 명의 아프리카계 여성 공학자들의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 영화입니다. 이들은 NASA(미국 항공 우주청)에서 수학, 물리학, 컴퓨터 공학 분야에서의 중요한 일을 맡아 우주 비행사 존 글렌이 1962년에 시행된 미국의 최초 인공위성 발사 작전에 성공하는 데 기여합니다. 주인공 캐서린 존슨은 이론과 계산을 전문으로 하는 인재로, 어려운 계산 작업을 하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기술을 습득하여 인공위성 발사 작전의 성공에 큰 역할을 합니다. 다른 두 여성 공학자들인 도로시 볼드란 과 메리 잭슨은 각각 NASA에서 컴퓨터 프로그램과 유체 역학 연구를 담당하며, 이 작전의 성공을 위해 큰 노력을 기울입니다. 이들이 맞닥뜨리는 인종차별과 성차별 등의 힘든 현실 속에서도 희생과 열정으로 자신들이 가진 역량을 살려 NASA의 역사를 만들어가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습니다.
히든 피겨스의 감상평
영화 "히든 피겨스"는 1960년대 미국의 우주 비행 경쟁 시대를 배경으로 세 명의 아프리카계 여성 공학자들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입니다. 이들이 자신들이 가진 역량과 열정을 바탕으로 성공적으로 우주 비행을 끌어낸 모습은 매우 감동적이었습니다. 이 영화는 인종차별과 성차별 등의 혐오스러운 현실을 넘어서 자신들의 꿈을 향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이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이들이 남다른 열정과 끈기로 인해 어려운 시대를 이겨내고 성공적으로 일을 수행하는 모습은 굉장히 감동적이었습니다. 주인공인 캐서린 존슨을 비롯한 세 여성의 배우들은 모두 뛰어난 연기력을 선보였습니다. 특히 타란지 피 헨슨이 연기한 캐서린 존슨의 표정 하나하나에서 느껴지는 강한 열정과 집념은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 이 영화는 또한 인종차별과 성차별이 존재하던 시대의 현실을 그대로 담아내어, 그 시대를 알지 못하는 젊은 세대에게도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이 영화를 통해 어려움을 이겨내며 자신의 역량을 발휘하며 꿈을 이루는 이들의 모습을 보면서, 자신의 꿈을 향해 끊임없이 노력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전반적으로 "히든 피겨스"는 인종과 성별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자신의 꿈을 이룰 수 있다는 강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이러한 메시지는 현재의 사회에서도 여전히 중요하며, 모든 사람이 자신의 역량을 발휘할 기회와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게 해주는 좋은 작품이었습니다.
1960년대의 우주공간 경쟁 시대
1960년대 우주공간 경쟁 시대는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의 미래지향적인 기술개발과 대립을 기반으로 한 경쟁입니다. 이 시대는 1957년 소련이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을 발사한 후, 1961년에는 유리 가가린이 인류 최초로 우주로 나가는 역사적인 우주 비행을 성공시키면서 더욱 가열되었습니다. 두 대국 모두 우주 개발에 많은 자금과 인력을 투입하였으며, 이를 통해 인류 역사상 가장 큰 기술적인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이러한 우주공간 경쟁은 이래도 오늘날의 인류에게 많은 기술적인 발전과 혜택을 제공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경쟁은 두 대국 간의 대립과 위기를 불러일으키기도 하였습니다. 1962년에는 미국과 소련 사이에서 인구 규모보다 많은 핵무기가 충돌할 수 있는 궤도에 존재하게 된 쿠바 위기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세계적인 대규모 전쟁으로 이어질 위험도 내포하고 있었습니다. 1960년대 우주공간 경쟁 시대는 과학기술 발전에 대한 열정과 끈기를 보여주는 측면에서는 매우 중요한 시대였습니다. 그러나 대립과 위기의 그늘이 내리는 모습도 보였기 때문에, 이러한 경향성은 되도록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1960년대 인종차별
1960년대는 미국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받았던 인종차별과 공민권 운동이 가장 큰 이슈 중 하나였습니다. 이 시대에는 흑인들이 언론, 교육, 직업, 주거, 군대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인종차별을 받았으며, 이에 대한 불만과 항의가 증가하였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마틴 루터 킹 주니어를 비롯한 미국 내부의 인권 운동가들은 대중 시위와 민주주의적인 방식으로 공식적인 인종차별 폐지를 촉구하였습니다. 1963년 8월에는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대규모 집회에서 마틴 루터 킹 주니어가 "나는 꿈꾼다"라는 연설 하면서 흑인들의 인권을 위한 운동이 한층 고조되었습니다. 1964년에는 미국 대통령 존슨이 시민권법을 제정하여 공식적인 인종차별을 금지하였으며, 1965년에는 투표권법이 개정되어 인종차별이 일어나지 않도록 보호되었습니다. 이러한 인권 운동과 법적인 개혁은 흑인들의 삶과 지위를 개선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하였으며, 이후 미국 사회는 조금씩 변화해나가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인종차별이 없어지지 않았고, 미국 사회 내부에서는 다양한 인종과 계급 간의 갈등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더욱 큰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며, 모든 인간이 평등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인종차별과 편견을 극복하는 데에 노력해야 합니다.
'영화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이디 버드 (Lady Bird, 2017) 그리고 고등학생 이야기 (0) | 2023.02.19 |
---|---|
아이, 토냐 (I, Tonya, 2017)와 90년대 피겨스케이팅 (0) | 2023.02.19 |
맥컬리 컬킨의 리즈시절, 마이걸(1991)과 나홀로 집에(1990) (0) | 2023.02.18 |
더 헬프 (The Help, 2011)과 흑인 여성의 삶 (0) | 2023.02.18 |
스틸 매그놀리아(Steel Magnolias, 1989), 서른 아홉 그리고 시스맨스 (0) | 2023.02.18 |
댓글